커피의 모든 것 (커피 수확방법)

 커피콩의 수확은 최종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단계 중 하나입니다. 왜냐하면 커피 체리는 적절한 시기에 수확해야만 내부의 커피콩 품질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수확하는 방식은 사람의 손으로 하는 수동수확 방식과 기계로 수확하는 방식 2가지가 있습니다.  수동수확  커피를 수확하는 전통적인 방법이며 오늘날에도 소규모 농장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사람의 손으로 이루어지는 수동수확은 핸드 피킹(Hand Picking)과 스트리핑(Stripping)으로 나뉘어 집니다.  핸드피킹(Hand Picking)  : 잘 익은 체리만을 사람이 일일이 선별하여 수확하는 방법으로 개화가 연중 내내 일어나는 수세식 커피 생산지역에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방식은 균일한 원두 생산을 가능하게 하고 원두의 품질이 매우 우수해 일관된 풍미와 향을 가진 커피를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 번에 다 수확하지 못하고 여러 번 나누어서 수확해야 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서 많은 비용이 발생합니다.  스트리핑(Stripping)  : 체리가 땅에 닿지 않게 천을 깔아 놓고 나무에 열려 있는 체리를 손으로 훑어 수확하는 방식입니다. 일반적으로 건식 가공을 하는 나라와 로부스타를 생산하는 국가에서 주로 사용합니다. 이 방식의 장점은 한 번에 수확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는 있으나, 아직 익지 않았거나 너무 익은 체리가 같이 섞여 있어 품질이 일정하지 않고 나무에 생채기를 낸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수확시기를 잘 결정해야만 좋은 품질의 원두를 얻을 수 있습니다. 만일 너무 이르게 수확한다면 덜 익은 체리가 가득 있을 것이고 너무 늦게 수확한다면 너무 많이 익은 체리가 가득할 것입니다. 기계식 수확  : 커피를 수확하는 방식 중 기계를 사용하여 커피 체리를 수집하는 방식이 기계식 수확입니다. 보통 대형 트랙터나 나무의 키와 폭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기계로 나뭇가지에서 체리를 컨베이어 벨트로 흔듭니다. 브라질에서 처음 개발되어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브라질 세

커피의 재배지 (마시고 있는 커피의 생산지를 아시나요?)

이미지
   평소 커피를 마실 때, 마시고 있는 커피가 어느 나라 원두인지 알고 있나요? 대부분의 사람은 커피 재배지 하면 대개 에티오피아, 브라질 혹은 콜롬비아 등을 떠올립니다. 이 국가들 모두 커피를 생산하는 지역이 맞습니다. 지금 이 글을 찾아본 이유는 커피를 좋아하고 좀 더 커피에 대해서 알기 위해서일 것입니다. 지금부터 천천히 재배를 위한 조건들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1. 기후  커피 재배에 이상적인 기후는 따뜻하고 습한 기후로 기온은 15도에서 24도 사이이며, 연간 강우량이 높은 곳입니다. 만일 적절한 기후에서 커피를 기르지 않는다면 나무의 성장 및 발달에 영향을 미치며, 이것은 곧 커피콩의 품질에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2. 온도  : 커피나무는 15도에서 24도 사이의 기온에서 가장 잘 자랍니다. 하지만 10도 이하 혹은 30도 이상의 온도는 나무를 훼손해 커피콩의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저녁이나 새벽의 기온이 너무 낮게 되면 나무의 성장이 멈출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낮에 온도가 너무 높아 나무에 스트레스를 주게 되면 커피콩의 품질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3. 강우량  : 커피나무는 일반적으로 연간 1,500~2,500mm의 높은 강수량이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강우량이 너무 많아 토양이 물에 잠기게 되면 뿌리가 썩을 수도 있고 각종 질병에 걸릴 위험이 생깁니다. 반대로 강우량이 너무 적어 가뭄이 된다면 나무는 스트레스를 받아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됩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커피나무 재배는 꾸준하고 일관된 물 공급이 필수입니다.  4. 상대습도  : 커피나무는 대게 60~70%의 상대 습도가 높은 지역에서 가장 잘 자랍니다. 상대습도가 높으면 나무의 수분 손실이 줄어들어 커피콩의 품질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만일 상대습도가 낮다면 나무가 수분 손실을 안 나게 하기 위해서 좀 더 많은 에너지를 써 커피콩의 품질이 다소 떨어질 수 있습니다. 5. 고도  : 커피나무는 일반적으로 해발 600~2,000m에서 가장 잘 자랍니다.

아라비카 품종 (마라고지페, 게이샤, 켄트, 파카스, 티모르 하이브리드)

이미지
 아라비카종이 풍부한 향과 기분 좋은 신맛 때문에 원두커피용으로 가장 많이 소비되고 있습니다. 물론 카포네라종도 많은 소비를 이루고 있으나 향이 단조롭고 쓴맛 때문에 대부분 인스턴트 커피를 만드는 데 사용하고 있습니다. '카포네라'라고 하기보다는 '로부스타'로 많이 알려져 있는데 그 이유는 대부분의 카포네라 종이 로부스타로 재배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듯 아라비카종 또한 큰 틀일 뿐입니다. 이번에는 아라비카 품종 11가지 중 남은 5가지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 마라고지페(Maragogipe)  1870년 브라질 바이아주 마라고지페시에서 발견된 티피카 품종의 돌연변이(자연변이)된 종입니다. 이 종은 높은 고도에서 잘 자라며, 나무 마디가 길고 잎과 체리, 생두의 크기가 매우 커 코끼리콩으로 불리는 품종입니다. 이 종은 나무의 키가 크고 생산량이 많지 않은 편에 속합니다. 또한 파카스(Pacas)와 교배한 파카마라(Pacamara), 카투라(Caturra)와 교배한 마라카투(Maracatu) 등이 존재합니다. 파카마라(Pacamara) 종은 생산량은 적으나 생두의 크기가 크고 깔끔한 신맛으로 알려진 품종입니다.  2. 게이샤(Geisha)  1930년대에 에티오피아 남서부의 게샤(Gesha)에서 발견되어 1936년 영국 영사가 씨앗을 수집한 후 탄자니아에 심어 졌고 1953년에 코스타리카를 거쳐서 1960년대에 파나마로 보내져 재배하기 시작했습니다. 게이샤(Geisha)는 현 커피 시장에서 과일 향이 나며 더 달콤하고 덜 산성이어서 최고의 커피라고 인정받기도 했습니다. 3. 켄트(Kent)  20세기 초에 켄트에 의해 인도에서 발견된 티피카(Typica)의 돌연변이(자연변이)입니다. 생산량이 많고 병충해에 강한 품종으로 특히 커피 나뭇잎 병에 강합니다. 이 종은 아라비카의 아종이지만 가끔 S-288 및 S-795로

아라비카 품종 (티피카, 부르봉, 에티오피안 에어룸, 문도노보, 카투라, 카투아이)

이미지
   아라비카종이 풍부한 향과 기분 좋은 신맛 때문에 원두커피용으로 가장 많이 소비되고 있습니다. 물론 카포네라종도 많은 소비를 이루고 있으나 향이 단조롭고 쓴맛 때문에 대부분 인스턴트 커피를 만드는 데 사용하고 있습니다. '카포네라'라고 하기보다는 '로부스타'로 많이 알려져 있는데 그 이유는 대부분의 카포네라 종이 로부스타로 재배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듯 아라비카종 또한 큰 틀일 뿐입니다. 그중에 여러 가지 품종 중 유명한 11가지를 2번에 나눠서 소개하겠습니다. 1. 티피카(Typica)  티피카는 아라비카 원형에 가장 가까운 품종으로 네덜란드에 의해 암스테르담 식물원으로 옮겨진 후 예멘에서 아시아로 유입된 품종입니다. 그렇기에 가장 오래되고, 중요한 품종 중 하나이며, 자라, 마라고지페, 티모르 하이브리 등의 변종을 낳았습니다. 1720년대 카리브해 지역과 라틴 아메리카 지역으로 전파되어 현재는 중남미와 아시아에서 주로 재배 및 생산되고 있습니다. 이 생두는 크기가 작고 모양이 길쭉한 얇은 형태로 진한 녹색을 띠고 있습니다. 또한 월드 커피 리서치 (World Coffee Research, 이하 WCR)에서 티피카는 고품질이지만 병충해에 취약하여 생산성이 낮다고 설명하였습니다. 로스팅에 있어서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적절한 맛과 향을 표현하기 까다로운 생두입니다. 하지만 맛 특성은 깔끔하고 달콤한 산미를 냅니다.  2. 부르봉 or 버번(Bourbon)  프랑스에 의해 예멘에서 인도양의 레위니옹섬에 이식된 품종으로 티피카의 자연 변종이 된 종입니다. 티피카에 비해 상대적으로 둥글고 단단한 편이며, 품질이 뛰어납니다. 또한 벌레에는 강하지만 질병에는 약합니다. 체리의 색상은 붉은색과 노란색으로 구분되며, 생두의 센터 컷 모양이 긴 S자 모양으로 띠고, 체리는 빈틈없이 잘 익지만 비, 바람에 약합니다. 그런데도 고지대에 잘 적응하여 수확량이 티피카에 비해 20~30% 정도 많으나, 다른 품종에 비해 수확량은 적습니다. 주로

커피의 종류는 무엇이 있을까? (3대 커피 품종)

이미지
 여러분은 인스턴트 커피(Maxim, G7, KANU, FRANCH CAFE, ...)와 매장(STARBUCK, A TwoSome Place, MEGA COFFEE, COMPOSE COFFEE, ...)에서 사드시는 커피의 차이점을 아시나요? 이 두 커피의 차이점은 바로 커피의 품종입니다. 커피 원두의 종류는 크게 코페아 아라비카(Coffeea Arabica), 코페아 카네포라(Coffeea Canephora), 코페아 리베리카(Coffeea Liberica) 3가지로 나뉩니다.  코페아 아라비카(Coffea Arabica)  원두를 살 때 '아라비카 100%'라고 적혀있는 것이 있습니다. 이것은 아라비카 품종의 원두만을 사용했다는 의미입니다. 기록에 따르면 아라비카종은 1753년에 아프리카 대륙의 에티오피아(Ethiopia) 고원 지대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온실 속의 화초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을 정도의 아라비카종은 건조(저습)하거나 고온다습한 환경, 병충해 등에 약합니다. 하지만 커피의 품질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세계에서 가장 많이 재배하는 주요 품종입니다. 품종 개량 및 돌연변이, 자연 교배종을 포함하면 100여 종이 넘게 존재합니다. 또한 아라비카종은 자가수분하여, 원형을 유지하려는 습관이 있습니다.  간략하게 보기 대표 종 : 티피카(Typica), 버번(Burbon) 개화 : 비 온 후 꽃이 피고 난 이후 열매는 맺는 개월 : 9개월 염색체 수 : 44개(2n) 생두 모양 : 플랫 빈(Flat bin) 재배온도 : 15~24도 재배고도 : 1000~2000m (아열대의 고지대에서 주로 재배) 적정 강수량 : 1500~2000mm 적정 습도 : 60~75% 적정 일조시간 : 연간 1900~2200시간 카페인 함량 : 0.8~1.4% 향미 : 풍부하며, 신맛이 좋게 남 주요 생산국가 : 브라질, 콜롬비아, 과테말라, ... 생산량 : 60~70% 소비 : 원두커피용 코페아 카네포라(Coffea Canephora)  1858년 아프리카 콩고(

커피는 어디에서 열리는 걸까? (커피식물학)

이미지
   평소 커피를 마시다가 문득 "이 커피는 어떻게 만들어지는 걸까?"라는 궁금증을 가지신 적 있을 겁니다. 우리가 마시고 있는 커피는 원두를 갈아서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이러한 원두는 생두를 로스팅하여 만들어지고, 생두는 커피체리라는 커피나무의 열매입니다. 지금부터 간단하게 커피나무에 관련하여 소개하겠습니다. 커피나무  커피는 1753년 스웨덴의 식물학자 린네(Linnaeus)에 의해 아프리카 원산의 꼭두서니과 코페아속에 속하는 다년생 상록 쌍떡잎식물이라 분류되었습니다. 이 나무는 일반적으로 1년 내내 푸른 잎을 가지고 있으며 하나의 열매(커피체리)에 두 개의 씨앗(생두)을 가지고 있습니다. 보통 열매는 심은 지 2~4년 정도가 지나고 나서 꽃을 피우고 꽃이 지고 열립니다. 위에 사진에서 보이는 것처럼 익어감에 따라 차츰 초록색에서 노란색 또는 붉은색을 띠게 되는데 이것을 체리(Cherry)라고 말하며 야생에서는 4~12 m 정도 자라게 됩니다. 생두를 팔기 위해서 재배하는 커피나무는 보통 2~2.5 m 정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가지치기하여 수확에 용이하게 만듭니다.  아열대 관목식물 식물계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용담목 - 꼭두서니과 - 코페아속   커피 꽃  커피 꽃은 흰색을 띠며 옅은 재스민(Jasmine)향이 난다고 합니다. 잎과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씨방은 2개의 배젖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마디 하나에 16~48개의 꽃이 모여서 피기 때문에 만개한 꽃을 보면 예쁩니다.  뿌리와 잎  커피나무의 뿌리는 크게 주근(Tap Root), 곧은 뿌리(Axial Root), 곁뿌리(Lateral Root) 이렇게 3부분으로 나눕니다. 주근(Tap Root)은 지표면에서 밑으로 45 cm 정도까지 뻗습니다. 하지만 습도가 높고 토양의 밀도가 클 경우 뿌리는 굳이 뿌리를 깊은 곳에 내리는 데 힘을 쓰기보다는 대부분 위쪽에서 습한 공기의 물을 머금기 위해 위쪽으로 뻗게 됩니다. 반대로, 건조

커피란 단어의 탄생 비화? (커피의 어원)

이미지
 현재 우리는 커피라는 단어를 그냥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커피라는 단어는 한순간에 만들어진 것이 아닙니다. 지금부터 커피의 이름은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커피의 어원으로는 크게 '카파(Kaffa)'와 '카화(Qahwah)' 2가지로 나뉘어 있습니다. 카파(Kaffa)  커피의 처음 발견지인 에티오피아 고원지대인 '짐마(Djimmah, 옛 명칭 카파: Kaffa)'지역이 커피의 어원이라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현재는 '짐마시'와 '카파존'으로 따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카파(Kaffa)'라는 단어는 에티오피아 언어로 '힘'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재미있는 점은 대부분의 커피 관련 서적에서 커피의 시발점은 에티오피아라는 것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에티오피아에서는 우리가 커피라고 부르는 음료를 '부나(Buna)'혹은 '분나(Bunna)'라고 부르고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다양한 언어로 이루어진 다민족국가인 만큼 '번(Bun)', '카와(kawa)',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제 의견으로는 커피의 시작점인 에티오피아가 어원의 시작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커피에 있는 카페인이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를 자극하여 '힘'을 낼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커피 하면 '힘이 난다'라는 생각이 떠오릅니다. 그렇기에 에티오피아 언어로 '힘'인 '카파(Kaffa)가 맞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카화(Qahwah)  '카화(Qahwah)'라는 단어는 아랍어로 와인을 지칭합니다. 그렇다면 '카화(Qahwah)'라는 단어가 어떻게 커피라는 의미로 변했을까요? 지금부터 어떻게 변신했는지 소개하겠습니다. 옛날에 쿠란(아랍어: القرآن, 문화어: 코란경)이라는 이슬람에서 가르침의 기본이 되는 책에서 알코올음